프로젝트 팀원을 모집하는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이에 게임의 개념을 도입하여 유저들이 즐거움을 느끼며 웹 및 앱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합니다.

개선 하고자 하는 문제점

  1. 프로젝트나 스터디를 진행하고 싶어도 팀원 없이는 시작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팀원을 찾아도 성향이 맞지 않거나 불화가 생기면 시작하지 않는 것이 최선일 수 있습니다.
  2. 기업에서 직원을 고용할 때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개인이 프로젝트 팀원을 찾는 경우에도 세세한 조건을 따져서 팀원을 고르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의 유저 모임 프로그램들은 팀원과의 상호작용이 랜덤성에 가깝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3. 기존 프로젝트 참여 게시물은 주로 포지션과 기술 중심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실력 그리고 실력보다 중요한 것은 협업 시 성향이 얼마나 잘 맞을지 예측할 수 있는 정보입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유저들은 형식적인 소개로만 서로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 또는 팀원 소개는 제대로 하지 않고 지원서를 받는 게시물도 많습니다.

해결 목표

이에 따라, 프로젝트나 스터디 팀을 모집하는 것은 구인과 구직의 성향을 가지지만, 자유롭게 성향을 표현할 수 있는 차이가 있습니다. (팀장을 구하고 싶습니다. / 아이디어를 많이 생각하는 편입니다. / 몰아서 하는 것을 즐겨합니다 / mbti 등등) 이러한 표현을 기반으로 더 잘 맞는 팀원을 찾거나 좋은 팀에 들어갈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리고 목표에 기반하여 게임의 시스템을 유저 모임에 적용하기로 하였습니다.

즐겨하는 게임을 예시로 들자면, 게임에서 파티를 구성하면서 각 캐릭터의 정보를 확인하고 경험을 토대로, 지원한 팀원을 받을지 말지 결정합니다.(대화는 하지 않습니다.) 정보를 잘 확인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결과(클리어 시간) 차이는 상당히 납니다.

정보 확인 여부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지는 게임 파티모집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트 팀원 모집에서도 지원자의 정보를 자세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프로젝트 팀원을 구하는 게시물에서는 지원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정보를 물어봐야 합니다. 하지만 목표하는 바와 같이 서비스를 만들면, 면접과 같은 행위를 줄여주고 빠르게 프로젝트를 시작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에 지원하는 사람, 프로젝트를 구하는 사람의 정보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유저의 정보가 형식적이라면 가시성과 흥미도가 낮아질 것을 예상하여 게임 컨셉을 도입하고, 게임이 가지는 상상력과 확장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팀워크, 사용 가능한 기술 등 다양한 유저 정보를 수치적으로 표현하고 가시성을 높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