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I 신하영
생년월일 I 1999.11.15
Github I https://github.com/Hayeong8957
희망 직무 I Front-end developer
포트폴리오 I https://www.notion.so/WEB-Portfolio-1b6cd74bcc2080ce8564fe0e9f67deaa?source=copy_link
2023.08
한양대학교(ERICA) 졸업 (학점 3.87/4.5)
2023.02
Elice SW엔지니어 트랙 4기 (6월 수료)
2020.02
한양대학교(ERICA) 소프트웨어융합대학 ICT융합학부 미디어테크놀로지전공 다중전공
2018.02
한양대학교(ERICA) 경상대학 경영학부 입학
2022.04
컴퓨터활용능력 1급 취득
2022.06
정보처리기사 취득
2025.04
SQLD 취득
2025.04
ServiceNow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
HTML5
CSS3
Javascript
NextJS
ReactJs
TypeScript
1. 문서화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만들다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협업’이며, 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저는 문서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첫 번째 회사에서 개발을 진행하며 문서를 작성했고, 이를 바탕으로 선임 개발자에게 질문할 때도 보다 논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작성한 문서는 단순한 개인 기록이 아니라 협업자들에게 참고 자료가 되었습니다. 두 번째 회사 퇴사 후에도 팀원들이 제 문서를 업무에 활용했다는 연락을 받았고, 이는 문서화의 가치를 다시금 깨닫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QA 단계에서는 작성했던 문서를 기반으로 버그 발생 지점을 단계별로 추적할 수 있었고, 덕분에 더 빠르고 체계적인 디버깅이 가능했습니다.
2. 피드백을 수용하고, 성장으로 연결하다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빠르게 싱크를 맞추는 가장 좋은 방법은 ‘피드백’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피드백을 받았을 때 단순히 받아들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성장하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코드 리뷰에서 “Type 강제 그만하기”, “hasOwnProperty 사용 금지” 등의 피드백을 받았을 때, 즉시 다음 PR에서 반영하며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하려고 했습니다. 또한, 제 단점 중 하나였던 ‘모르는 것을 바로 질문하지 못하는 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15분 룰을 적용했습니다. 15분 이상 고민했음에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면 선임에게 빠르게 질문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일하는 습관을 바꾸었습니다.
3. 빠르게 적응하고, 더 나은 코드를 만든다
짧은 기간 동안 여러 회사와 코드베이스를 경험하며 다양한 접근 방식을 배웠고, 이를 바탕으로 빠르게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길렀습니다.
입사 첫날, 서비스 내 발생하는 버그를 스스로 찾아내 해결하면서 문제 인식 및 해결 능력을 입증하였고, TypeScript 도입 초기의 코드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리팩토링을 진행하며 전체 코드베이스를 익히는 경험을 했습니다. 새로운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해 업무 시간 외에도 시간을 투자하며, 자잘한 task를 스스로 부여하고 해결하는 방식으로 코드베이스를 빠르게 이해했습니다.
2025.04.07
~ IKC(프리모리스엔젯리미티드) - Technical Consultant
serviceNow ITOM 프로젝트 운영 업무 - LGU+ 인벤토리관리시스템 운영
문제 해결 능력, 자동화 기능 개발, 운영 프로세스 및 커뮤니케이션 체계 정립
2024.06.17
~ 2024.10.15
Prediction - Frontend Developer
(퇴사 사유: 경영 악화)
QB어플의 프론트엔드 개발(React.js, Next.js, TypeScript, Redux)
📚 학교 특화 탭 및 내 책장 개편
📖 새로운 영어 콘텐츠 시리즈 개발